분류 전체보기 (237) 썸네일형 리스트형 용어 [Study: 맬웨어(Malware)란] 컴퓨터 사용중 크롬 익스텐션중에 하나가 멀웨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멀웨어가 뭔지 찾아보기로 하였습니다. 멀웨어는 맬웨어로 검색이되었습니다. 맬웨어(Malware)는 악성 소프트웨어(malicious software)의 줄임말로, 컴퓨터 시스템을 손상시키거나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도용하는 등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소프트웨어를 가리킵니다. 맬웨어는 다양한 형태와 종류가 있으며, 주로 인터넷을 통해 전파되거나 악의적인 목적으로 개발되어 사용됩니다. 일반적인 맬웨어 유형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바이러스(Virus): 호스트 파일에 감염되어 자신을 복제하고 전파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주로 실행 파일에 감염되며,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활성화됩니다. 웜(Worm): 네트워크를 통해.. MySQL [ collation(콜레이션) : group by가 다른 비슷한 문자를 병합함] 회사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찾는 과정이 있었는데 group by가 다른 문자를 병합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그 원인이 궁금하여 찾아 보았다 원인은 collation으로 정해져 있는 인코딩을 기반으로 글자끼리 어떻게 비교할지 정의해 놓은 규칙을 사용하기 때문에 생긴 일이었다. ref : https://www.cubrid.org/manual/ko/11.2/sql/i18n.html 콜레이션은 문자를 비교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사용자는 흔히 콜레이션을 통해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거나 구분한다. 예를 들어 “ABC”와 “abc”는 대소문자 구분 무시(case insensitive) 콜레이션에서는 동일한 반면, 대소문자 구분(case sensitive) 콜레이션에서는 동일하지 않다. 또한 콜레이션에 따라 비교 결과가 .. apk [apk 까보기 : 앱 코드 구조 확인] apk 파일 다운 https://apkcombo.com/ko/ apk 파일 디컴파일 https://www.decompiler.com/ vscode를 통해서 내용 확인 압축 해제가 안되면 반디집 앱등 압축 파일 앱을 사용하여 풀기 DB [Info : 트랜잭션과 락] 자꾸 서버가 멈추는 현상이 심해졌는데 그이유가 크롤러와 유저의 증가에 따른 원인으로 보았을때 예상되는 문제가 DB에 락이 걸렸을 가능성이 높아보여 정리하였다 트랜잭션과 락(Transaction, Lock)에 대한 이해 트랜잭션(Transaction): 트랜잭션은 논리적인 작업 단위로, 전체가 성공적으로 처리되거나 실패할 경우 롤백되는 원자성을 보장하는 기능입니다. 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쿼리를 묶어 하나의 작업으로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락(Lock): 락은 서로 다른 작업에서 동시에 같은 자원을 필요로 할 때, 자원 경쟁을 피하고 순서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MySQL에서 사용되는 락은 MySQL 엔진 레벨의 락과 스토리지 엔진 레벨의 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스토리지 엔진 레벨의.. Tool [Info : JS 코드 속도 비교 사이트] 코드 속도 비교하는 것이 직접 해도 되나 일일이 적어서 비교하는 것이 불편해서 속도를 비교하는 사이트를 찾았음 JavaScrip https://jsben.ch/ 공통 [ Info : argument와 parameter 차이점 ] Argument(인자)와 Parameter(매개변수)는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사용되는 용어로, 혼동하기 쉽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다른 개념입니다. Argument(인자): Argument는 함수나 메서드를 호출할 때 전달되는 실제 값입니다. 호출할 때 함수에 전달되는 값들을 의미합니다. 함수를 호출할 때, 함수에 정의된 매개변수(Parameter)에 해당하는 값을 넘겨줌으로써 함수가 실행될 때 사용될 입력 값을 결정합니다. Parameter(매개변수): Parameter는 함수나 메서드를 정의할 때 사용되는 변수명입니다. 함수나 메서드의 정의부에서 사용되며, 입력 값을 받아들일 변수를 명시합니다. 함수를 정의할 때 어떤 종류의 값을 받을 것인지와 해당 값을 사용하기 위한 변수명을 지정합니다. 간단한 예시로.. Error [boto3: Provided region_name 'aws_test' doesn't match a supported format.] 오류 배경 boto3.client 사용시 같은 코드에서 필자만 region_name 오류가 나왔음 boto3.client error_messege: Provided region_name 'aws_test' doesn't match a supported format. 해결방법 ~/.aws/config 파일에서 기본 region_name 변경 # 기존 [default] region=aws_test # 수정 후 [default] region=`사용하는 위치` eg. us-west-2 ref - https://boto3.amazonaws.com/v1/documentation/api/latest/guide/configuration.html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03.. Error : [MySQL: ERROR 1091 (42000): Can't DROP 'keyName'; check that column/key exists ] 문제 상황 분명히 하단의 코드를 통해 외래키가 있고 이름을 복붙하여서 삭제하려고 하였으나 삭제가 되지 않았다. -- 테이블 생성SQL을 보는 sql -- 여기에서 CONSTRAINT 부분을 보면 된다 (거기에 FOREIGN KEY의 키이름이 나옴) SHOW CREATE TABLE [tableName]; -- 테이블의 외래키 삭제 sql ALTER TABLE [tableName] DROP FOREIGN KEY [keyName]; 해결 방법 1. 이름만 다른 똑같은 테이블을 생성 (테이블 생성 SQL사용) 2. 원래 테이블의 외래키 확인 (필자는 전부 삭제 되었음, 복제된 테이블 외래키들을 보면서 저장하는 것을 추천함) 3. 1번에 생성하였던 테이블 삭제 4. 필요한 외래키만 생성 끝 이전 1 2 3 4 5 6 7 ··· 30 다음